8월 7일 입추(立秋), 8월 23일 처서(處暑)

입추는 대서(大暑)와 처서(處暑) 사이에 들어 있는 절기로 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들었다는 뜻이다. 늦더위가 있기도 하지만 칠월칠석을 전후하므로 밤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이 무렵은 벼가 한창 익어가는 때이므로 맑은 날씨가 계속되어야 한다. 조선시대에는 입추가 지나 비가 닷새이상 계속되면 조정이나 각 고을에서 비를 멎게 해달라는 기청제(祈晴祭)를 올렸다고 한다. 입추에 하늘이 청명하면 풍년이라 여기고, 비가 조금 내리면 길하지만 많이 내리면 벼가 상한다고 접쳤다. 또한 천둥이 치면 벼의 수확량이 적고 지진이 있으면 다음 해 봄에 소와 염소가 죽는다고 점치기도 했다. 이때부터 김장용 무와 배추를 심고 김장에 대비한다. 처서(處暑)는 여름이 지나 더위도 가시고 신선한 가을을 맞는다는 의미로 더위가 그친다는 뜻에서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 처서가 지나면 따가운 햇볕이 누그러져 풀이 더 자라지 않기 때문에 논두렁이나 산소의 풀을 깎아 준다. 과거 부인들과 선비들은 여름 동안 장마에 젖은 옷이나 책을 음지에서 말리는 음건(陰乾)이나 햇볕에서 말리는 폭쇄(曝曬)를 이 무렵에 했다.

“처서가 지나면 모기도 입이 비뚤어진다”라는 속담처럼 모기의 극성도 사리지고 농부들은 여름에 매만지던 쟁기와 호미를 깨끗이 씻어둔다. 또한 “처서에 비가 오면 독의 곡식도 준다”는 속담이 있는데 이때 비가 내리면 흉년이 든다는 뜻에서 생긴 말이다. 여름 내 정성 들여 가꾼 오곡이 마지막 결실을 맺는 때로 맑은 바람과 따뜻한 햇볕을 받아 누렇게 익어야 하는데 비가 내리면 곡식이 제대로 여물지 않기 때문이다.

 

8월의 메모 – 벼농사 물관리를 잘하고 태풍과 집중호우에 대비해야

<식량작물> 벼농사의 경우 출수기, 등숙기 등 생육단계에 맞게 알맞은 물관리를 하고, 이삭도열병과 잎집무늬마름병, 흰잎마름병, 벼멸구 등의 방제를 실시한다. 가을에 심을 보리의 우량 씨앗을 확보하고 콩과 참깨, 땅콩의 병해충 방제작업을 한다. 상중순에는 웃자란 콩의 순을 잘라주고, 곡식용으로 심은 옥수수의 2차 웃거름을 준다. 중하순에는 조기 재배한 고구마와 식용 풋옥수수를 제때 수확해 출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순에 가을감자를 심는다.

 

<원예·특화작물> 태풍과 집중호우 등 기상재해에 대비한다. 고추는 웃거름을 제때 주고 식용 풋고추와 붉은 고추를 제때 수확한다. 상중순에는 장미와 거베라 등에 수명 연장제를 처리한다. 복숭아와 포도, 무화과를 제때 수확해 출하하고 무화과 총채벌레와 노린재 피해 예방을 위한 방충망 설치 및 친환경제재를 주기적으로 살포하여야 한다. 하순경 가을 무·배추 씨를 뿌리고, 마늘, 양파 재배포장 토양소독을 실시하고 하순에 양파 조생종의 씨를 뿌린다. 인삼과 약초밭의 물뺄도랑을 정비하고 느타리버섯 가을재배를 위한 배지상과 종균접종을 실시한다.

 

<축산․사료작물> 여름철 가축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축사 안팎 소독을 진행한다. 가축의 일사병과 열사병을 막기 위해 축사 내 온도와 습도를 낮춰 주고 방목장과 운동장은 그늘을 만들어준다. 또한 태풍에 대배해 사료작물 포장과 축사 주위 물뺄도랑을 정비한다. 가축에게는 풋베기 사료작물을 주거나 옥수수 담든 먹이를 만들어준다. 중하순에는 비타민과 광물질 등 첨가제를 주며, 청보리, IRG등 동계사료작물 씨뿌림을 준비한다.

※ 자료출처 : 농촌진흥청「농업기술」

저작권자 © 함평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