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경 서예가

21세기 미술은 문화산업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함평에서도 군립미술관을 개관하여 운영되고 있다. 군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미술관의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보통 미술관이란 궁중의 유물 보관소에서 시작하여 대중에 대한 교육적 기능을 거쳐 동시대 미술의 켈렉션을 담당하는 기능에 이르는 근대미술관을 모두 아우르고 있다.

미술관은 결국 국제박물관협회(ICOM)가 규정하고 있는 소장품의 수집 및 분류, 연구, 전시, 복원, 관리, 교육 등의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는 장소로 정리되고 있다.

함평군립미술관도 매년 2억 정도의 금쪽같은 예산을 투입하여 소장할 미술품 구입에 투자하고 있다.

이는 미술관 운영비의 거의 모든 부분을 소장 미술품 구입에 투자하고 있다는 반증이고, 전문가가 참여하지 않고 혈연이나 지연, 학연에 의한 작품을 구입하다보니 작품 선정기준이 모호하고 미학적 표준의 상실은 물론 맹목적 개인적 추종에 의한 선정으로 평생 소장해야할 미술품 구입에 있어 방향성을 상실하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결국 이러한 작품 구입은 미술관의 존립 근거를 훼손하는 근원이며 공급과잉 현상으로 재고작품이 창고에서 방치되고 미술관 운영을 박제화하게 된다.

이로인해 미술관의 본래의 기능은 사라지고 "모든 것을 삼킨채 소화불량에 걸려 수장고에 미술품만 쌓여가는 비극을 맞이하게 된다,

이런 미술관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미술관 존립에 위기의식을 느낀 많은 외국의 미술관들은 작품의 소장보다는 기획 전시와 개인 소장전 등을 통해 미술관의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미술관의 주요 기능인 수집, 분류, 복원, 관리 등의 활동을 수정 또는 삭제한다는 측면에서 기존의 미술관과 차별성을 가져야 살아남을 수 있다는 얘기다.

미술작품의 수집과 관리위주를 지양하고 미술관만의 독자성으로 운영해야 한다. 즉 관련 단체들의 초대전이나 자체 기획전 등으로 미술관을 운영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미술관의 역할과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주민들에게 다양한 미술을 향유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즉 미술관은 주민이 자유롭게 드나들고 함께 전시하고 공부할 수 있을 때 문화 공간으로 존재의 가치가 있는 것이지 일부 유명 작품 몇 점 소유한다고 권위 있는 미술관이 되는 것은 아니다.

함평군립미술관도 문화적 패권만 있고 대중이 갈망하는 문화가 없는 미술관으로 흘러갈까 우려스럽다

함평군립미술관의 최근 전시를 보면 국향대전이나 나비축제에 맞춰 안동숙 기념관의 소장 작품 상시 전시, 안종일 컬랙션, 지역작가 초대전 등을 개최하고 있고 추사작품전은 최근 3년 동안 매년 개최하면서 학술세미나도 연 바 있다.

열악한 미술관 재정에도 불구하고 추사전을 3회나 진행하였다는데 문제가 있다. 추사는 이미 학술적으로나 서예사적으로 위상이 밝혀진 작가이다. 이런 추사를 지역 미술관에서 3번씩 개최해서 새로 얻어지거나 밝혀진 것이 무엇이 있을까?

아마도 좁은 소견에 추사작품 몇 점을 함평군에서 소장하고 있다는 것 밖에 기억에 남지 않을 것이다.

추사의 좋은 작품과 사상, 철학을 가지고 새로운 문화 켄텐츠를 생산함으로써 지역경제에 긍정적 효과를 제시하고 새로운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예술가들의 역할이고 이를 뒷받침 해주는 것이 미술관인데 이러한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의심스럽다.

이러한 운영은 군립미술관 운영위원의 전문성 부재와 전문인력 부족과 유일하게 존재하는 학예사의 의견마저도 무시되고 행정위주의 전시를 기획하다보니 그러하지 않나 생각된다.

어느 분야든 전문적 지식을 갖춘 전문가가 필요하다. 미술관도 마찬가지이다. 그렇지 않으면 盲引衆盲 相牽入火坑 (눈먼 봉사하나가 다른 봉사를 이끌고 가는데 서로 밀고 당기면서 불구덩이 속으로 기어들어간다)이란 고사처럼 되기 쉽다.

이제라도 함평군립미술관이 미술관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여 함평의 정체성(正體性)을 찾아서 전시 세미나 교육을 통해 새로운 컨텐츠를 개발함으로써 지역미술관의 역할을 충실히 해야하지 않을까 생각 한다.

저작권자 © 함평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