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래들어 귀농(歸農)에 관심을 갖는 도시민이 부쩍 늘었다.
 
귀농 대열에는 실직이나 취업에 어려움을 겪은 사람도 적지 않지만 농업과 농촌 자체에 관심을 갖는 도시민도 꽤 많다. 쾌적하고 친환경적인 농촌에서 제2의 삶을 꾸려간다는 의도로 보인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최근 도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응답자의 56.3%가 은퇴 후 농어촌 정주를 희망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 조사에 의하면 3.1%는 1-2년내에, 이들을 포함한 20%는 5-6년 이내에 농촌으로 이주할 생각으로 준비중이다.
 
물론 이주 희망과 실천으로 옮기는 것은 차이가 있겠지만 과거에 비해 농촌 정주를 원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현상은 뚜렷하다.
 
여기에는 정부의 지원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정부와 자치단체는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농촌문제 해결의 한 대안으로 귀농지원 정책을 강화하고있다.
 
정부는 귀농자들이 농촌에 주택을 마련할 경우 구입자금으로 최대 2천만원(금리 3%)까지 융자해주고, 주택수리를 위해 500만원까지 지원한다. 특히 귀농자가 농지나 축사를 마련하는 데 쓰는 영농정착자금을 1인당 2천만~2억원까지 융자해준다.
 
자치단체도 다양한 지원을 해주고 있다.
 
특히 전남의 지원은 파격적이다.
 
상당수 시·군이 귀농 정착자금, 시설자금 보조금 명목으로 가구당 1천만원에서 최고 6천만원까지 지원한다.
 
그러나 정부의 귀농정책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농촌에 대한 또다른 퍼주기 지원정책으로 변질될 우려 때문이다.
 
매년 귀농자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에서 재정 형편이 어려운 지자체가 모든 귀농자에게 자금을 지원하기 힘들고 실질적인 정착에도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도 많다.
 
실제 지난 2005년까지 매년 40-80명에 불과했던 전남지역 귀농자 수는 2006년 이후 매년 250명~300명선에 이르고 있다.
 
앞으로는 귀농자가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재원 마련은 물론, 기존 농촌 거주민과 형평성도 논란이다.
 
따라서 재정지원보다는 체계적인 지원시스템이 요구된다. 취농, 귀농, 귀촌순으로 유도하는 것도 한 대안이다.
 
농업분야에 취업토록 한 후 적성에 맞으면 귀농을 권장하고 이후 농촌에 정주하는 귀촌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일부 자치단체가 농업관련 부문에 인턴제를 도입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농촌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터득하게 해 실패를 최소화해야 한다.
 
또 정부 지원에만 의존하려는 귀농자들은 철저하게 배제되어야 한다. 영농법인을 운영할 사람들에게는 사업계획서를 꼼꼼하게 따지고 타당성을 분석해야 한다. 과거 관광농원 조성에 퍼주식으로 지원해 농촌문제를 더 심각하게 했던 전철을 되풀이해서는 안된다.
 
아울러 경제적 지원과 함께 자력할 수 있는 대책도 병행되어야 한다.
 
귀농 인력에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영농기술이다. 기술이나 흥미도 없는 상태에서 그야말로 '농사나 지어볼 요령'으로 귀농한 사람들은 실패하기 십상이다.
 
성공한 귀농인들도 많지만 실패한 경우가 더 많은게 현실이다.
 
실제 귀농가구의 전체 경영면적과 소득을 분석한 결과 평균 호당 경영면적은 3.08ha로 전남지역 호당 경지면적보다 높지만 소득수준은 1천611만원에 불과해 귀농자의 영농능력은 아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은 전국 제일의 농도일 뿐만 아니라 천혜의 자연환경을 보유하고 있다.
 
전국에서 농지가격이 제일 저렴한 장점도 있다. 수도권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귀농하기엔 최적의 자연, 사회환경을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성공적인 귀농 정책으로 이주하는 도시민들에게는 새로운 삶의 터전이 되고 농촌은 활력이 넘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함평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