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전 민주당 대선후보의 정치복귀를 둘러싸고 말들이 분분하다.

때마침 DY 자신의 지역구인 전주 덕진에 재보선이라는 밥상이 차려진터라 민주당 내에서 논란의 수준으로 파장이 커지고 있다.

갈등의 쟁점은 두 개로 엇갈린다. 대선 후보까지 나섰던 큰 장수가 일신의 안일을 위해 작은 전쟁터를 택하면 안 된다는 논리와 그에게 그렇듯 과도한 멍에를 씌우는 일은 온당치 못하다는 논리가 충돌하고 있다.

앞서의 주장을 따르자면 DY는 좀 더 와신상담하다 수도권 재보선 지역을 정치복귀를 위한 일전의 장으로 삼아야하고, 후자의 의견대로라면 전주 덕진 출마를 탓할 까닭은 없는 셈이다.

큰 장수 수도권 출마 론은 사실 어제 오늘 갑자기 거론됐던 논점은 아니다.

민주당은 대선에 패한 직후 치렀던 지난 총선국면에서도 큰 인물 수도권 차출설이 고개를 들기도 했다.

그러나 지켜지진 않았다. 당시 손학규 당 대표와 DY가 당론과 여론에 등을 떼밀려 낯선 전쟁터인 서울 종로와 동작에서 기병을 해 무참히 패한 경우를 제외하곤 대부분 후보들이 자신의 지역구에 캠프를 차렸던 것이다.

소위 참여정부에서 출세가도를 달린 노무현 정권 황태자라 불린 수혜자들 조차 장 차관 마패를 들고 승리가 보장된 호남이라는 손쉬운 전쟁터를 찾았다.

대다수 지역여론이 그들을 수도권에 차출하라는 신호를 강력하게 보냈지만 민주당은 이를 애써 무시했다.

이 때문에 사실상 정치신인의 수혈처나 다름이 없었던 호남은 노무현의 인물들과 구 민주계 정치인들의 재기를 위한 발판 역할에 그치면서 민주당의 쇄신 기대에 찬물을 끼얹었다.

DY의 정치복귀에 대한 국민적 관심은 본질적으로 전주냐, 수도권이냐에 있지 않다.

민주당이 MB정권에 맞서 차기 대권을 과연 창출할 수 있겠느냐는 국민적 의구심이 점점 더 부피를 키워가는 국면과 맞물린 관심사라는 점을 민주당은 유념해야 할 것이다. 용산참사와 같은 MB의 실정이 거듭될수록 거물 정치인에 대한 기대는 더욱 증폭될 수밖에 없다.

DY나 손학규 전 대표의 정치복귀의 본질적인 의미가 바로 이곳에 있다면 두 사람의 빠른 복귀가 문제이지 전주냐, 수도권이냐는 큰 문제일 수가 없다. 당내의 복잡한 역학구조를 두 사람의 복귀의 틀에 적용해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대선 후보군이라 불리는 큰 정치인은 수도권에서 승부를 걸어야 한다는 논리도 사실은 맹랑한 측면이 없지 않다. 이 틀을 적용하자면 한나라당의 박 근혜 최고위원도 다음엔 선거구를 수도권으로 옮겨야 할 입장이다. 당이 절대 절명의 위기에 빠져 ‘황산벌 전투’와 같은 배수진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또 모르되 정치인이 자신의 오랜 지역구를 정치적 터 밭으로 삼는 것은 정치인 자신에게도 그리고 지역구의 유권자들에게도 자연스런 일이다.

민주당은 DY에게 더 이상 정치적 선택을 강요해선 안 된다. 혹여 대선 패배 책임론이 아직도 당내에 잠재돼있다면, 민주당은 지난 대선의 패인을 스스로에게 되물어야 한다.

패배의 책임이 온전히 DY 자신에게 있기 보다는, 참여정권 말기에 풍미했던 소위 ‘반 노 정서’에 따른 불가피한 결과였다 라는 점을 민주당은 누구보다 더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DY정치복귀는 어떤 선택을 하던지 그의 뜻에 맡겨야 한다고 본다.

대선에 패배하고, 동작에서 백의종군하고, 미국을 다녀 온 그를 향해 선거구마저 당론에 따르라는 주문은 솔직히 가혹해 보인다.


저작권자 © 함평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